CCC (중국)

▶ CCC 인증제도

– 2001년 국가질량감독검험총국(AQSIQ)은 ‘강제성 제품인증관리규정’을 정식 공포하였으며, 국내산 제품과 수입 품에 대해 이원적으로 적용되던 기존의 모든 인증제도가 하나의 인증제도로 대체되었습니다.

– 가정용 전기전자제품, 자동차, 안전유리, 의료기기, 전선 등의 제품이 CCC 강제인증제품에 해당되며, 이에 해당 하는 제품은 반드시 CCC 인증을 획득해야 합니다.

▶ 대상 품목

▶인증요건

– 샘플형식시험

시험항목: 해당규격에 근거 시험방법: 해당규격 내에 규정된 시험방법 혹은 언급된 시험방법

– 공장심사

인증기관 검사부는 검사보고서 접수 후 근무일 기준 10일 이내에 신청인의 생산공장 심사조건이 허락되는 경우, 심사팀을 구성하는 동시에 생산공장 심사 통보를 고지함. 강제인증제도 실시규칙의 “공장품질 보장능력 요구” 규정에 근거, 심사팀은 생산공장 현장검사를 진행한 후, 공장 심사 보고서를 제출함

VCCI (일본)

▶ VCCI 인증제도

– 정보기술장치(ITE: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에서 발생하는 방해파를 자주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비강제 등록제도입니다.

– VCCI는 일본에서 시행하는 강제규격은 아니지만, 일본에 정보기술 기기(ITE)상품을 출하하고자 할 때에는 이 규격을 따르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또한 소비자들의 인지도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전파장해자주규제협의회(VCCI)는 정보처리장치 및 전자사무용기기와 같은 정보기술장치로부터 발생하는 방해파를 자주적으로 규제하여 라디오, TV 등의 수신기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

▶ 대상 품목

– 일본시장에 출하되는 모든 ITE (정보기술기기/정보처리기기) 장비

– ITE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 정격전원전압 600V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기로서, 데이터 및 전기통신정보의 입력, 기억, 디스플레이, 검색,전송, 처리, 교환 혹은 제어의 단일 기능 또는 복합기능을 가지며, 일반적인정보전달을 위한 한 개 이상의 단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단독 또는 그 이상의 연결 단자를 갖는 기기.

PSE 인증제도 (일본)

▶ PSE 인증제도 ​

PSE 인증은 일본 전기용품안전법에 의거하여 시행되고 있는 강제인증입니다. 일본의 전기용품 안전인증인 PSE 마크제도는 일본 내의 전기전가제품에 적용해오던 전기용품취체법(Dentori 마크, T-Mark)이 개정(2001.04.01)된 새로운 형태법인 전기용품안전법(DENAN Law)에 따른 인증제도입니다. 일본으로의 수출을 목적으로 전기용품을 제조하거나 이를 수입하여 판매하는 사람은 해당 제품에 대한 기술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제품의 해당여부에 따라 PSE 인증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 대상품목

특정전기용품 (PSE Diamond) 116품목 :
이 제품의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반드시 일본 경제산업성 장관이 인정한 일본의 인정검사기관
또는 경제산업성 장관이 승인한 외국의 승인검사기관에서 적합성 검사를 받아야합니다. (공장심사)
ex) 전선, 퓨즈, 배선기구, 전류제한기, 변압기, 발열기구, 전자응용기계기구 등

특정전기용품 이외의 전기용품 (PSE Circle) 341품목 : 일본 경제산업성 장관이 인정한 일본의 인정기관에서 승인을 강제로 받을 필요는 없으나, 제조사 스스로 또는 시험기관을 통해 관련 규격에 맞는 평가/시험을 평가하고 이를 만족하는 경우, 제품 또는 라벨에 PSE Circle 마크를 부착하여야 합니다. 이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 일본 내 통관이 불가합니다. ex) 전선, 퓨즈, 배선기구, 소형 교류 전동기, 전열 장치, 전기력 응용 기계기구, 광원 및 광원 응용 기계기구, 전자 응용 기계기구, 교류용 기계기구

CE (유럽)

▶ CE 인증제도

– 유럽연합의 통합규격 강제인증제도입니다.

– 유럽내에서 유통되는 상품중 소비자의 건강, 안전, 위생 및 환경보호 차원에서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제품에 적용됩니다.

– 대상품목의 경우 CE 마크 부착은 법적요구 사항이며 이를 어길 경우 유럽 내에서 유통이 금지됩니다.

– CE 마킹은 해당제품이 European Union (EU) 와 European Free Trade Area(EFTA)합법적으로 판매될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 ​

▶ 대상 품목​​ 유럽 연합 (EU)은 지침 (Directive)과 규격 (EN: European Norm), 조화문서 (Harmonized Documents) 그리고 예비 규격 (Pre-standard)을 통해 CE 인증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CE Marking은 1990년 12월 제품의 규격 및 기술 규정에 따라 적합성 평가를 하는 시험 및 인증제도가 총괄적 접근방식 (Global Approach)로 통일되면서 각 제품별로 달리 적용하던 인증 절차나 인증 마크를 통일하고 17개 인증대상 품목군을 정하였고, 8개의 인증방식 (Module)을 정하면서 본격 시행되었습니다. 현재는 22개 품목군에 해당하는 제품이 CE Marking의 적용 대상입니다.

저전압기기/단순압력용기/장남감/건축자재/전자파적합성/기계류/개인보호장비/비자동저울/이식용의료기기/가스기기류/ 온수보일러/민수용폭약/의료장비/방폭기기/여가용선박/승강기/냉동기기/통신단말기/체내진단용의료장비/무선통신단말기 etc.

NRTL (북미)

▶ 제도의 개요

NRTL은 미국 노동부 산하 직업안전보건청(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에서 지정한 국가인정시험소(Nationally Recognized Testing Laboratory)를 뜻합니다. ​

– NRTL은 강제인증제도는 아니나 일부 주에서는 강제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미국내 바이어들은 기본적으로 요구 하고 있는 인증제도입니다. ​

– NRTL은 단지 안전에 대한 제품안전인증이며, 미국내 통신이나 EMI 관련은 FCC에서 관장하며 의료기기는 FDA 에서 관장합니다. ​

▶ 인증대상 제품군 안정성을 인증받아야 하는 산업용품은 OSHA 에서 지정 고시하며 모니터, 컴퓨터, A/V기기, 가전기기, 소화장비, 가스장비 등 37개 품목군 약 660여개 품목이 해당됩니다.

1. 전기전자 제품

2. 방폭기기

3. 가스기기 (LPG 관련 기구)

4. 소방장비 (소화기, 화재감지장치 등)

FCC (미국 유·무선통신)

▶ FCC 인증제도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미연방통신위원회)는 통신법(The Communications Acts)에 의거 하여 1934년에 설립된 미국정부기관으로, 국내외 무선, TV, 위성, 케이블, 유선 통신에 관련한 정책을 개발 및 규제하고 있습니다. – FCC는 민간부문의 통신을 관할하고 있으며, 전기 전자제품으로부터 복사되는 불필요한 전파가 공중통신에 방해 가 되지 않도록 규제합니다.

– FCC의 주요기능은 10KHz ~ 3,000GHz의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규제는 연방통신법에 의거하여 실시되는데 위반 시는 법에 따라 제품의 수입, 판매, 전시, 광고 등 유통전반에 걸쳐 강력한 제재가 수반되므로 관련제품에 대한 FCC의 인증을 받지 못하면 미국 내로 제품을 통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며 FCC인증 획득은 필수입니다.

– FCC는 각종의 무선통신장비뿐만이 아니라 낮은 출력을 이용한 무선기기 및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와 같이 사용 중에 전자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대부분의 전기/전자기기를 규제하며, 의도적, 비의도적 전자파사용, 전자파 발생 의 정도 등에 따라 FCC 적합증명 절차와 시험요건, 마킹요건 등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 안전에 대한 시험과 인증은 FCC의 인증요건이 아니며, 안전에 관한것은 미국가시험인증소(Nationally Recognized Testing Laboratory ; NRTL) 프로그램을 통해 규제하고 있습니다. ​

▶ 대상 품목

FCC의 인증이 필요한 관련규정은 CFR(Code of Federal Register) Title 47 (Telecommunications) 에 규정되어 있으며 주요 Part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CFR 47 Part 15, 18, 68, 95등 규정에 따른 FCC 인증 대상기기는 주로 송ㆍ수신기, 정보기기류, 방송수신기(FM, TV, VCR), CB송ㆍ수신기, 무선전화, 산업/과학/의료용 고주파 이용기기류, 송신기류, 수신기류, PSTN에 연결되는 장비(전화기, 팩스, 모뎀류)등이 해당됩니다.